[포괄손익 계산서]
손익계산서란 "당기의 경영활동으로 인한
수익과 비용을 차감하여 당기순이익을
보고하는 회계자료" 로서,
포괄손익 계산서는 "손익계산서의
당기순이익에 기타포괄이익까지 포함한
총포괄이익을 보고하는 회계자료"임
*포괄 이익 = 보유 손익이 Main으로
유형자산 평가손익, 매도가능 금융자산 평가손익 등
① 영업손익 계산서
매출액과 함께 영업(생산+ 판매/관리) 활동으로
인한 비용을 빼고 영업이익을 보고하는 Part
매출원가는 제품 생산에 따른 비용으로서
(원)재료비, 노무비, 경비, 감가상각비 등이 있고,
매출액 - 매출원가 = 매출총이익이 됨
판매관리비(aka판관비)는 판매 및 관리비용으로
급여 및 복리후생비(인건비), 광고선전비, 운반비,
감가상각/무형자산 상각비, 기타비용이 있음
매출 - 매출원가 - 판매관리비 = 영업이익
② 경상 손익계산서
영업활동(영업이익) 영업외 활동까지 반영하여
세전순이익(법인세차감전 순이익)을 정리함
영업외 활동은 이자, 배당금, 외환, 기타 등이 있으며,
세전 순이익을 갖고
"기업이 영업활동으로 현금을 얼마만큼 창출하는지
- 수익성을 판단하는 지표"로 활용함
*EBIT or EBITDA로 혼용하여 사용함(케바케)
그뒤 당기순이익과 총포괄이익을 적는데,
- 당기순이익 = 세전 순이익 - 법인세
- 총포괄이익 = 당기순이익 + 기타포괄이익
- 기타포괄손익 관련 법인세
로서 최종 결과값인 총포괄이익을 기준으로
풀어본다면 아래와 같은 흐름으로 정리됨
[재무제표 - 포괄 손익계산서 연관성]
① 영업활동에 따른 손익 변화는 자산과 관계 有
*매출-매출원가-판관비 = 영업이익
: "총자산↔영업이익"은
영업활동을 위한 투입량 ↔ 영업활동의 결과
▶ 총자산의 영업이익률 = 투자수익률 지표
② 자본조달 활동은 부채 및 자본과 관계 有
*영업이익±영업외손익-법인세=당기순이익
: 이자비용 = 부채사용에 대한 자본비용,
당기순이익 = 자기자본 사용에 따른 자본비용
'준비된 상태로 "현실" 살기 > Biz Knowledge & Skill-set'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학습노트] PMP ①. 프로젝트 관리란 무엇인가? (0) | 2022.12.26 |
---|---|
[Tool 익히기] #1. Power Apps - No code / Low code Platform (0) | 2022.11.14 |
[Biz Concept] 경영분석 #1 재무상태표 (0) | 2022.10.17 |
[Skill set] 프로젝트 고수가 되는 법 3️⃣-2 (0) | 2022.10.04 |
[Skill set] 프로젝트 고수가 되는 법 3️⃣-1 (1) | 2022.10.0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