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25년 초고령사회2 [고령화 뉴스 리뷰] 인구에 따른 복지, 비즈니스 대응 (1) ‘이러다 국민 전체가 나혼자 살게 될 듯…’ 7월 출생-혼인 ‘역대 최저’ 요약 : 저출산/소가구화/고령화에 “초 or 극”이란 접미사가 붙는 인구 트렌드 시사점 : 인구 시나리오는 Worst Case로 치닫고 있다, 할 수 있는 건 대비 뿐 - ‘22년 7월 33개월째 인구 자연감소세(이는 계속 유지될 전망) : 월 출생아 수 약 2만명 < 월 사망자 수 2.6만명, 월 인구 약 0.56만명 감소 - ‘22년 1~7월 누적 혼인건수 10.8만건으로 전년 대비 3.5% 감소 : 30대 인구 감소, 결혼/출산 가치관 변화, 비혼-만혼 증가의 영향 (2) 2~3년내 고령인구 1000만명 시대… “빈곤층 선별 복지 필요” 요약 : 초고령 사회, 늘어난 고령 빈곤층을 위한 선별복지가 선제적으로 준비되야 .. 2022. 10. 3. [오피니언 리뷰] 초고령사회, 최고의 복지는 "노인 일자리" 핵심 요약 : 한국노인인력개발원's 경기지역 본부장이 밝힌 "노인일자리 사업 Vision" 1) 노인일자리사업 History - 사회활동과 일자리의 경제적 역할의 동시 수행이 목적 - '04년 2.5만개 → '22년 사업목표량 84.5만개로 확대됨 - 초기 공공형 일자리(정부 재정에 의존) → 지속가능한 민간형 일자리 창출 & 공공서비스 분야로 확대 e.g. 보이스피싱 예방, 플라스틱 제로사업, 취약계층 의료돌봄, 자살예방상담, 대형유통업체 연계 시니어카페 운영 등 ▶ 돌봄/안전/환경에 관한 "의미있는" 노인일자리 확대 중 2) 주요 통계 Source by 통계청 '22년 6월 인구 동향 - 한국 합계 출산율 0.75명(OECD 최저) 2022. 9. 27. 이전 1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