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린스타트업3 [독서 Note] 린 스타트업 "BM 사례" by 애릭 리스 #2-2 비즈니스 모델에 관해 좋은 글을 읽어 추가로 정리해보는 기회를 갖고자 함 [캔버스 위에 BM 얹기] 9개 요소 중 Focusing에 따라 여러 유형의 BM특성을 잡을 수 있는데, 이 글에서는 채널 중심(플랫폼)과 수익구조 중심(TBL) BM에 대해 작성 1) TBL 비즈니스 모델 Triple Bottom Line Business Model의 약어로서 “경제적 수지 뿐만 아니라, 사회-환경적 비용/이익까지 고려하여 공통체 및 사업의 지속가능성을 도모함” *Bottom line : 수입에서 비용을 제한 이익 최근 화두가 된 ESG와 연결된 개념으로 대표적으로 네슬레가 환경오염 및 노동착취에 공격받자 CSV 프로그램으로 이를 극복함 *네스프레소 에콜라보레이션 : 커피 재배농가에 자금과 기술을 지원하여 소득향상.. 2022. 10. 19. [독서 Note] 린 스타트업 "가설 검증법" by 애릭 리스 #4 [가설을 검증하는 법에 관하여] 가설 검증의 순서는 먼저 정성적으로 입증하고(e.g. 5명 인터뷰), 그 다음 정량적으로 확인하라(e.g. 시장 data) 결과는 구체적인 행동(결정)과 연관되어야 하며, 대시보드를 통해 팀원들과 공유하면서 "가설 - 알게된 내용 - 다음에 할일"의 내용으로 학습하고, 내부적으로 자주 의견을 나눠라. "단위 시간 당 위험요인의 학습 극대화"가 목표 ① 문제 이해 고객 인터뷰 or 관찰로 해결할만한 가치 찾아라, 즉, 누구에게 무엇이 문제인지 이것을 어떻게 해결할지 정리하라 ② 솔루션 정의 데모를 제작 후 테스팅하여 솔루션을 시각화해라 초기 수용고객이 누구인지, 솔루션 효과 있는지, 가격 정책이 적절한지 확인되어야 한다. ③ 정성적 입증 by MVP 보여주기 얼리고객이 UV.. 2022. 10. 18. [독서 Note] 린 스타트업 "전략과 가설" by 애릭 리스 #3 [전략 및 가설 설정에 관하여] 1) "손실에 관한 불확실성을 파악하라 손실은 기회비용과 실제 발생한 비용의 합으로서, 스타트업이 겪을 수 있는 위험은 3가지 유형임 제품 위험 - 제대로된 제품을 만들라 - 해결할 가치가 있는 문제인지 확인 후 - 최소한의 솔루션(MVP)를 정의하여 - 소규모 고객에게 MVP로 UVP를 검증해라 - 보안한 다음, 본격 확장해라 고객 위험 - 고객에 도달할 경로를 확보해라 - 문제 당사자가 누구인지 명확히해라 - 이 중 진짜 원할만한 얼리 고객으로 좁혀라 - Outbound(Push)로 시작해도 되지만, 천천히 Inbound(Pull)채널을 구축해라 시장 위험 - 존속할 수 있는 사업만하라 - 경쟁자를 파악하고, 가격을 잠정 결정한 뒤 - 고객 Real Voice로 가격을.. 2022. 10. 17. 이전 1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