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왔으나, 알지 못한 "미래" 보기/IT Trend & Keyword

[Case Study] 글로벌 빅테크 - 종합

by 저녁숲 2025. 7. 2.
728x90

 

25년 상반기 현재, 구글과 아마존이 시장에서 가장 저평가됨 

- 구글은 광고 외에 클라우드, 유튜브 등 다양한 포트폴리오로 수익창출과 AI를 활용중

- 아마존은 AWS, 광고의 높은 성장, AI기반 수익개선 중

But, 주가가 상승하지 않고 계속 그대로 정체 중

 

애플

- 25년 2분기 매출 954억 달러(전년 동기대비 +5%)

- 순이익 248억 달러(전년동기 대비 +5%), 주당 순이익 1.65달러(+8%)

- 아이폰 비중 50% ~ 성숙기 시장에서도 꾸준히 성장 중(필수 소비재 포지셔닝)

 

AI 측면에서 애플은 두각을 보이지 못하는 중임

:  모든 작업을 스마트폰으로 처리하며 프라이버시를 보호하려 함

  + 스마트폰 성능 향상으로 온디바이스 AI를 추구함

But 앱 인텐트 기능으로 여러 앱을 넘나들며 발생하는 오류를 줄이지 못함

*시리가 개인정보를 활용하지 못하고, 오류 발생으로 잘못된 명령 수행이 발생함

 

애플의 폐쇄적인 시스템으로 AI 기술의 도입이 어려운 상황(오픈 AI와 연동 어려움)

- 소비자들이 AI 기능에 대한 기대 대비 불만을 가지고 있음

- 그간 자체기술만을 사용한데 반해, AI분야 경쟁력 저하로 외부 기술에 대한 불안감이 커짐

 

MS

- 모든 부문에서 기대치 상회하는 실적 발표

- 25년 3분기 매출 701억 달러(+13%), 순이익 258억 달러(+18%)

- 에저 클라우드 매출 424억 달러(+22%)

  ▷클라우드, AI가 비용절감으로 성장을 가속화하는 요소로 봄

 

알파벳(구글)

- 매출 902억 달러(+12%), 순이익 345억(+46%), 주당 순이익 2.81달러(+49%)

- 매출의 75%가 광고에서 발생, 검색 매출 +10%, 유튜브 매출 +28%

- 25년까지 75억 달러를 AI혁신에 투자할 계획

▶ 제미나이 2.5 중심의 업데이트 공개 *AI검색모드, 영상생성, 증강현실 글래스 등

 

But, 구글 I/O 2025 발표 후 우려로 주식하락

- AI 운영에 막대한 비용이 든다?

- AI 요약 답변을 쓰다보면 검색광고 수익구조가 변한다?

  *AI 서버 연산비용은 매우 크지만, 검색링크 클릭을 줄어들어 광고수익이 떨어짐

- 경쟁사 대비 압도적인 경쟁력이 없다?

 

So, 알파벳은 기술력, 유통채널, 사용자 규모 우위로 인프라와 생태계를 선도하는 것이 전략

- 단기적인 비용부담, 수익 악화에도 장기적인 전략목표를 염두에 둠

- 기존제품에 AI를 통합해 신규 수익모델 창출을 노림

  + 생태계 재구성을 구글 I/O 20205로 보여줌

 

*AI 기반 검색결과가 나올 경우,

: 전통적인 링크 목록이 아닌, AI 가 핵심정보를 요약한 설명이 먼저+링크는 다음

 

*프로젝트 아스트라

: 구글의 장기적인 AI 비전으로, 상호작용되는 AI 대화를 목표로 함

   카메라, AI 가 결합되어 물체 인식, 기억, 답변 제공 like 자비스

 

*Veo, 자연어처리로 영상제작하는 AI

- 예술영상, 설명 영상, 제품소개 영상 제작에도 활용 가능

- 플로우(영상 제작 도구)를 이용해 콘텐츠 제작과 마케터의 업무 효율성을 높임

 

*안드라 XR. AR/VR용 운영체계 @ 스마트 글래스

실시간 번역, 물체 인식, 사진 촬영 등의 기능 시연

XR 시장에서 메타, 애플과 경쟁할 전망

 

메타

- 423억 달러(+16%), 순이익 166억 달러(+35%)

- 광고매출 비중 414억 달러(+16%) ▷ 97% 차지

  *광고 노출수 +5%, 평균 광고단가 10%

- AI기반 광고기술로 광고효율, 수익성 개선 중

 

AI 강자 전략 : 빅데이터 분석 및 AI개발툴 개발, 오픈소스 공개

- 하이브 : 빅데이터 처리 기술

- 프레스토 : 빅데이터 고속처리 엔진

- 파이토치 : 딥러닝 프레임워크

- 파이스 : 벡터 유사도 검색 라이브러리

 

*광고 및 콘텐츠 추천시스템의 통합으로 광고 효율성이 증대됨 ▷ 이익 성장률의 증가

- 애플의 앱추적투명성(ATT) 정책으로 앱추적 허용여부의 선택이 가능해지고, 개인정보 보호가 부각됨

  → 페이스북 광고효율성이 급격히 저하됨

  → 메타버스로 전환과 함께 사용자 성향에 맞춘 광고모델링을 강화함 *1.2만명 감축 단행

       : 직접적인 IDFA으로 불편함/거부감을 느끼게 하는 대신, 페북/인스타/스레드 데이터 결합으로 성향 모델링 

  → 결과적으로 앱 추적 투명성 정책으로 더 나은 광고모델링을 얻게 됨

 

*라마 : 고성능의 LLM으로 완전 공개모델 ~ 소스코드, 사용 라이센스 모두 공개됨

- 기술 홍보와 함께 커뮤니티 네트워크로 성과를 확인하려는 용도임

- 온디바이스 AI용 다양한 모델을 제공함

- 펀더멘탈 AI 리서치 조직으로 "실용성 중심"의 AI 연구를 선도함

  : 광고/콘텐츠 추천, AI반도체 저비용구조 설계 등에 활용

 

아마존

- 순매출 1557억 달러(+9%), 순이익 171억 달러(+64%)

- AWS 매출 293억 달러(+17%) ~ 글로벌 1위 고수, 성장률 17%

- 광고 서비스 매출 139억 달러(+18%)

 

테슬라

- 매출 139억달러(-9%), 영업이익 4억 달러(-66%), 순이익 4.9억달러(-71%)

- 자동차 부분 매출비중 72%, 에너지 및 기타 서비스가 각각 14%

728x9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