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생 후반부 준비
- 오늘날 최고경영자의 중년위기... 이것은 대부분 권태의 결과다
- 인생의 후반부를 설계하는데는 3가지 방법이 있다
- 제2의 다른 경력을 실제 시작한다
- 다른 조직으로 옮기기 or 전혀 다른 직무로 이동하기
- 첫번째 직업에서 성공한 자가 제2의 경력을 쌓아가는 모습
: 실용적인 기술을 있으면서, 일의 방법도 숙지한 Case ▷ 도전이 필요할 때 - 병행경력을 개발하기 - Parallel Career
- 파트타이머로 다른 기관(주로 NPO)에서 일하기 - 사회적 사업가로 전환하기 - Social Entpreneur
- 인생의 후반부를 관리하려면, 후반부로 접어들기 훨씬 전에 그 준비를 해야한다
교육받은 자
- 지식 사회로의 이동은 사람을 사회의 중심에 위치하게 함
: 지식은 사람속에 구현되고, 사람이 갖고 다니며, 사람에 의해 창조/증대/개선됨
사람에 의해 적용되고, 사람에 의해 가르쳐지고 전달되며, 이용/오용됨
- 지식사회에서는 교육받은 사람이 중심이 되어야 하는데,
교육받은 이는 현재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지식을 항상 갖고 다닐 수 있어야 함
↔ 인문주의자의 주장에는 그러한 능력도 없고, 관심도 없다 - 먼지 쌓인 골동품일 뿐
- 인문주의적 교육은 현실을 통달하게 하는 것은 고사하고, 현실을 이해시켜 주지도 못함
- 조직 내에서 경영자와 지식인 간의 균형을 이루지 못하면,
결과적으로 아무것도 해내지 못하거나(Too Much 지식인)
무능하고 관료주의적인 조직인(Too Much 경영자)
- 전문가들은 자신과 자신의 전문분야, 2가지를 다른 사람에게 이해시키는 일에 책임져야 함
> 자신이 하는 일이 무엇을 밝히는 어려운 과업을 기꺼이 감당해야 함
기억되고 싶은 인간상
- 자기 성장을 위해 가장 먼저 생각해야 할 것은 우수성을 발휘하려고 노력하는 일
- 전문 직업인으로서 자질(Craftmanship)을 갖추지 못하면, 업무를 잘 수행 못하고 자기성장도 못함
- 개인의 성장에 있어 가장 큰 책임을 지는 사람은 개인 자신임
"내가 하는 일이 조직과 나 자신 모두에게 남다른 성과가 되게 하기 위해 나는 무엇에 초점을 맞춰야 하나?"
- 높은 성과를 올리는 것만이 주위로부터 신뢰와 협력을 이끌어낼 수 있는 유일한 방법임
: 상관, 경영진, 부하직원에게 불평을 늘어놓는 것만으로는 좋은 성과를 올릴 수 없음
- 특별한 공헌을 하는 사람은 현 조직으로 하여금 과거 조직의 사명보다 더 큰 사명을 수행한다는 자부심을 느끼게 함
> 이런 성공에 있어 가장 중요한 요소는 책임감임, "스스로에게" 책임질 의무
"나는 무엇을 배워야만 하는가?", "남다른 성과를 올리기 위해서는 무엇을 해야 하는가?"
- 자기 자신이 스스로에게 부과하는 책임 의식에 초점을 맞춤으로써
사람은 자기 자신을 보다 크고 중요한 존재로 인식할 수 있게 됨 ▷ 자아 존중, 자신감
- 성장하기 위해서는 "올바른 종류의 조직에서 올바른 업무를 수행해야 함" - Right Work in Right kind of Organization
> 나는 한 인간으로서 어디에 속해야 하는가? - 어떤 종류의 작업 환경이 필요한지 이해해ㅑㅇ 함
> 승진 그 자체는 중요한 것이 아니며, 중요한 것은 승진될 자격을 부여받는 거고, 공정한 취급을 받을 여건인가임
- 일하는 재미는 일 자체가 아니라, 일의 결과에서 찾아야 함
- 업무 속에 학습을 구축하고, 그것을 유지하기 위해서는 결과를 바탕으로 새로운 기대를 설정하는
조직적 피드백 과정이 필요함
1) 본인 업무 중 가장 핵심적인 활동이 무엇인지 파악함
2) 그 활동으로 기대하는 것을 기록함
3) 9개월, 1년 뒤 기대와 실제 성취를 비교해봄
▶ 결과적으로 무엇을 잘햇는지, 자신에게 필요한 기술과 지식은 뭔지, 자신의 나쁜 습관은 뭔지, 조금더 노력했으면 좋은 결과를 산출할 수 있던 기회가 뭔지를 발견할 수 있음
- 목표 달성 능력은 행동 습관의 문제이고, 몇몇 기본 규칙의 준수 여부에 달려있음1) 무엇이 수행해야할 올바른 일인지 결정함 - 능률을 측정할, 우선순위를 결정함2) 그 일의 수행에 있어 자신의 강점을 활용함
- 자신이 수행하는 일로부터 자극을 제공받을 경우는 스스로를 혁신하기 위해 노력할 때임 > 지금껏 하던 일에 직무충실을 기하기 위해 재밌는 일을 만들고, 도전하고, 변혁을 시도할 때임 > 스스로 거듭나기를 유지해줄 도구는 - 가르치기 / 조직 밖에 나가보기 / 낮은 직급에 봉사해보기
'준비된 상태로 "현실" 살기 > 실전 멘탈 키우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프로젝트 레슨런 ③ 갈등관리 리더십 (0) | 2024.11.19 |
---|---|
[근간] 리더십 & 팀워크 by 문성후 대표 (0) | 2024.10.15 |
[발췌독] 프로페셔널의 조건 ⑦. 조직 &혁신 (4) | 2024.09.26 |
[발췌독] 프로페셔널의 조건 ⑥. 자기인식 (1) | 2024.09.26 |
[랜덤 여러줄] 탁월함에 이르는 피터 드러커의 습관 (0) | 2024.09.09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