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728x90

프로젝트3

[Skill set] 프로젝트 고수가 되는 법 3️⃣-2 [문제 해결 개요]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은 그럴법한 답안인 “가설”을 통해 - (1) 그것이 맞는 이유와, 대치되는 가설이 틀린 이유를 찾아내고 - (2) 이를 하나의 연결된 논리 구조를 통해 하나의 메세지로 정리한 뒤, - (3) 가장 효율적이고, 고객에게 효과적인 형태로 전달하는 것입니다. - (4) 이를 각각 “가설수립, 분석 작업, 논리 구조화, 전달하기” 라고 부르죠. 이번에는 프로젝트에서 가장 많은 Effort가 들어가는 부분인 "분석 작업"에 대해 정리해 보겠습니다. ※ 논리 구조화 및 전달하기는 좀 더 시간을 갖고, 정리하고자 합니다. [일+머리] 일잘러's 관찰일기와 겹치더라고요. "분석"은 데이터 란 말의 유행과 함께 많이 핫하며 이런 추세는 더하며 더했지, 덜해지진 않을겁니다. 이때,.. 2022. 10. 4.
[Skill set] 프로젝트 고수가 되는 법 3️⃣-1 여러분들이 앞의 글을 차분히 읽으셨다면, 제한된 시간 내에 답을 내는 과정인 프로젝트에서 어떻게 문제를 정의하고, 판을 꾸릴것인지 이해하셨을 겁니다. 그렇다면, 이제 남은 순서로 찾아낸 문제에 대해 “답”을 어떻게 낼 것인지 다뤄보시죠. [문제 해결 개요] 문제를 해결하는 과정은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그럴법한 답안인 “가설”을 통해 - (1) 그것이 맞는 이유와, 대치되는 가설이 틀린 이유를 찾아내고 - (2) 이를 하나의 연결된 논리 구조를 통해 하나의 메세지로 정리한 뒤, - (3) 가장 효율적이고, 고객에게 효과적인 형태로 전달하는 것입니다. - (4) 이를 각각 “가설수립, 분석 작업, 논리 구조화, 전달하기” 라고 부르죠. (1) 가설 수립 - 프로젝트 고수가 되는 법 1️⃣에서 이미 가설의 .. 2022. 10. 4.
[Skill set] 프로젝트의 고수가 되는 법 1️⃣ 이번 시리즈에서는 컨설팅 또는 프로젝트를 하면서 갖춰야할 기본 스킬은 무엇이 있고, “정수”라 부를 수 있는 핵심내용은 무엇인지 사회 초년생때 받았던 교육과 지금껏 쌓은 경험을 매칭하여 여러분께서 공감하실 수 있고, 최대한 도움이 되도록 정리해보겠습니다. 먼저 “프로젝트”라는 개념에 대해 이야기해봅시다. 사전적으로 프로젝트는 “(1) 일정 기간 안에 (2) 일정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수행하는 (3) 업무의 묶음” 이라고 지칭합니다. 풀어서 말해보자면 (1) (계약체결로 확정된) 한정된 기간/금액/인력 등의 제약요건 안에서 (2) 고객이 요청하는 각종 요구사항을 해결하기 위해 (3) 프로젝트 기간동안 진행하는 모든 업무 를 뜻합니다. 이는 통상 Task라 표현하는 운영 업무와 대조하면 이해하기 편할텐데,.. 2022. 9. 30.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