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생산성관점1 [고령화 뉴스 리뷰] 고령화 문제 심화 & 불명확한 대안 1️⃣ Opening 한국의 저출산 고령화로 생산가능인구(만 20~64세) 대비 노인인구(만 65세 이상) 비율이 ‘22년 23.6%, 약 4명이 1명 부양 》 ‘60년 89.7%, 약 1.1명이 1명 부양 “약 40년간 3.8배 증가로 가장 늙은 국가 등극” (1) 한국 ‘초고속 고령화’ 진행중.. 사람들 문제 체감 못하는 이유는? 요약 : 지금껏 도시 집중과 20년간 베이비붐이란 한국적 인구특성으로 체감이 덜했으나, 베이비붐의 고령화로 인한 파급력과 지방 소멸이 더욱 심해질 전망임 시사점 : 고령화 심각성을 못 느끼는건 87%가 도시에 살고, 도시에는 젊은이가 많기 때문이란 말에 적극 공감 *조영태 교수님은 정말 이 분야 전문가라 생각함 - OECD 중 상대적으로 한국이 젊은 편이나, 20년 뒤에는 가장 고.. 2022. 10. 7. 이전 1 다음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