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의] 스타트업 팀 구성과 실행 @ 샘 알트먼

성공은 아이디어보다 실행에 달려있고, 초기에는 꼭 필요한 인력만 채용해야 함
: 오랫동안 알고 지낸 사람 or 끈기 있고 수완이 좋은 사람 or 강하고 침착한 사람
or 기술역량이 있는 사람
공동 창업자 선택은 매우 중요
- 공동 창업자는 무작위로 선택하려는 경향이 있는데, 재앙을 부르는 길임
- 대학에서 만났거나, 서로 잘 알고 있는 사이여야 함
스타트업 채용전략
- 소수의 직원으로 많은 성과를 내는 것이 스타트업에게 중요함
*직원이 많을 수록 높은 소모 비용과 복잡함이 증가함
**초기 절박한 필요가 있을 때만 채용함
- 스타트업에서 인재채용은 1순위가 되어야 함 ~ 제품개발, 자금조달과 동일한 위치
*인재 채용에 투자해야 할 시간은 약 25%
- 인재 채용기준은 [스마트함, 성과, 함께하고 싶은 사람인지]의 3가지 임
- 실적 기반의 평가가 중요하며, 함께 일해본 이의 레퍼런스를 고려해야 함
- 처음 직원 10명에게 10% 지분을 부여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봄(4년간)
*회사를 실제 성장시키는 것은 직원이며, 그들 기여분을 훨씬 초과하게 만드는 비결임
팀원 관리
- 직원이 행복하고 가치있다고 느끼게 만들어야 하며, 큰 주식보상으로 구현됨
- 첫 창업가 대표는 관리기술이 부족해 이를 극복하려는 노력이 필요함
- 자율성, 숙련도, 목적이 직원의 동기부여에 중요함ㅁ
- 직원 해고는 가장 괴롭고, 잘 못하는 부분이지만
성과를 못낼 경우 신속하게 해고하는 것이 기업, 직원 모두에게 좋음
*해고시점은 여러번 실수를 반복하거나, 일관되게 잘못된 결정을 내릴 때임
실행하기
- 실행은 스타트업에서 가장 재미 없지만, 가장 중요한 부분임
*유능한 아이디어보다 실행에 헌신하는 사람이 백배 더 나음
- 스타트업 대표는 비전설정/자금조달/인재확보/홍보/채용/실행기준을 정하는 일을 함
- 결과물을 만드는데 필요한 작업의 집중과 강도를 키우는 것이 필수임
*매일 100가지 일 중 2,3가지에 집중하고, 나머지는 위임해야 함
- 극도로 단순하고, 집중적인 노력이 요구되며, 빠르면서도 품질이 유지되야 함
*의사결정 지체는 스타트업의 파괴자이며, 행동을 우선순위에 둬야 함
**속도는 창업자에게 큰 프리미엄임 ~ 신속한 결정, 빠른 행동, 어떻게든 한다는 태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