왔으나, 알지 못한 "미래" 보기/스타트업 판세 읽기

[독서 Note] 린 스타트업 "전략과 가설" by 애릭 리스 #3

저녁숲 2022. 10. 17. 16:44
728x90

[전략 및 가설 설정에 관하여]

1) "손실에 관한 불확실성을 파악하라

손실은 기회비용과 실제 발생한 비용의 합으로서,

스타트업이 겪을 수 있는 위험은 3가지 유형임

  • 제품 위험 - 제대로된 제품을 만들라
    - 해결할 가치가 있는 문제인지 확인 후
    - 최소한의 솔루션(MVP)를 정의하여
    - 소규모 고객에게 MVP로 UVP를 검증해라
    - 보안한 다음, 본격 확장해라 

  • 고객 위험 - 고객에 도달할 경로를 확보해라 
    - 문제 당사자가 누구인지 명확히해라
    - 이 중 진짜 원할만한 얼리 고객으로 좁혀라
    - Outbound(Push)로 시작해도 되지만,
      천천히 Inbound(Pull)채널을 구축해라

  • 시장 위험 - 존속할 수 있는 사업만하라
    - 경쟁자를 파악하고, 가격을 잠정 결정한 뒤
    - 고객 Real Voice로 가격을 테스트하고
      고객의 실제 행동으로 가격을 테스트해라
    - 검증된 가격에 맞춰 BM이 작동하도록
       비용구조를 최적화하자

2) 사업모델의 우선순위 세우기

"서비스가 필요한 고객을 확보할 수 있는,

  충분히 큰 시장이 있는가?"란 질문이 해결되야 함

  • 고객불편 수준에 따르거나 >> 제품 위험
  • 접근 용이성에 맞추거나 >> 고객 위험
  • 수익극대화할 고객군에 따를수도 >> 시장 위험
  • 그외에도 시장규모 OR 실현가능성이 영향을 끼침

3) 외부조언을 구해 속도와 학습을 극대화하라

"적절한" 조언자에 의해 계획의 위험을 파악할 수 있다.

20%를 설명하고, 80%를 대화하는데 할애하면서
아래를 풀어보자
- 가장 위험한 부분은 무엇인가?

- 그 위험을 극복한 비슷한 사례가 있는가?

- (당신이라면) 어떻게 위험을 테스트할 것인가?
- 조언을 얻을만한 다른 사람은 누가 있는가?

 

4) 가설검증을 위해 프로토타이핑하라

자원이 다하기 전에 성공적인 계획을 찾는 것이 목표

- 하나의 핵심지표 or 목표를 파악해라

- 최소한의 일을 통해 학습해라 "최선 = 차선의 적"

- 사업모델의 가정을 "반증 가능한 가설"로 변환
   (구체적이고, 반복 가능한 행동)을 하면

   측정 가능한 예상결과)를 얻을 것이다

 

*속도 = 개발-측정-학습의 한 Cycle의 완성 시간

  학습 : 고객에 대해 배우는 것, 가설의 검증 결과

  초점 : 핵심문제와 연결하여 과업을 판단하는 것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