준비된 상태로 "현실" 살기/Biz Knowledge & Skill-set

[Biz-Concept] 비용인가? 손해인가? 품질비용, Q-cost

저녁숲 2025. 1. 9. 21:56
728x90

 

등장배경

- 과거에는 검사에만 의존해서 품질을 관리
   ▷ 어느정도의 불량품, 실패비용은 불가결하다는 인식 "예방비용 = 손해 로 인식"

 

- 현재는 실패비용의 치명성을 알기에 예방의 중요도를 크게 인식함

  ▶ 불량품 예방비용 < 고객에게 제품전달 하기 전까지 비용 << 제품전달 후 발생하는 비용

       "미리 예방할 수록 최종적인 비용을 아낄 수 있음"

 

품질비용 관리, Q-cost의 목적

- 품질문제를 비용문제로 인식 전환시킴으로써 문제의 경각심을 높이고, 절감목표를 설정함

- 경제적인 제품생산 방법을 구축하고, 품질경영 활동의 효과를 경제적으로 평가함

 

품질비용의 종류

단계에 따라

1) 예방비용, P-cost - Prevention

- 설계 품질을 유지하고, 실패하지 않게 하는 (예방을 위한) 비용

- 불량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소요되는 비용

  • 품질계획
  • 검사 및 시험계획
  • 공정관리
  • 설계검토
  • 협력업체 관리
  • 소비자 품질관련 교육
  • 소집단 활동
  • 기타 예방비

2) 평가비용, A-Cost, Appraisal

- 설계 품질의 실현정도를 평가하기 위해 드는 비용

  • 수입검사
  • 공정검사
  • 완성품검사
  • 검사 및 시험장비 유지
  • 출하검사
  • 검사자재

3) 실패비용, F-cost, Failure

- 설계품질이 실현되지 않았을 때 소요되는 비용

- 불량발생(품질수준 유지에 실패)으로 인한 손실

  • 폐기 / 재작업 / 재검사
  • 안전사고
  • 고객반품 및 환불
  • 무상수리 / Recall
  • A/S자재 및 관련부서 Effort

▶ "예방 코스트 + 평가 코스트 + 실패 코스트"의 합을 가장 낮게하는
      최적의 품질 코스트 스팟, 즉 적합품질을 셋팅하고 관리하는 것이 핵심

 

 

발생 장소에 따라

 

1) 내부 실패비용

- 불량품이 고객에게 전달되기 전에 기업내에서 발생하는 비용

  •  제품/서비스 설계, 구매의 실패
  • 폐품, 불량분석, 시정, 재가공,수리, 재검사
  • 부가작업, 폐기품, 등급조정, 불량품
  • 불량으로 인한 작업인력, 설비의 유후시간

2) 외부 실패비용

- 불량품이 고객에게 전달된 후 발생 ~ 고객 서비스와 관련

  • 소비자 불만조사, 불량으로 인한 고객서비스
    (반품, 재조정, 리콜, 품질보증, 위약금, 벌금 등)
  • 브랜드 이미지 추락, 생산성 저하, 주문 취소, 재고증가
    생산계획 변경, 관리비 추가 등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