카테고리 없음

[발췌독] 프로페셔널의 조건 ④. 의사결정 방법

저녁숲 2024. 9. 9. 23:12
728x90

 

효과적인 사람들(aka 능력자)는 

- 지나치게 많은 의사결정을 내리는 것이 아니라, 중요한 문제 결정에 집중한다

- 단순한 문제해결 차원이 아닌, 전략적이고 근본적인 차원에서 의사결정을 다룬다

- 최고 수준의 개념이해를 필요로 하는 소수의 의사결정을 추구한다

- 해당 상황에서 변하지 않는 것이 무엇인지 파악한다

- 기교 발휘보다 영향력에 집착하며,

- 단순한 영리함보다 건전한 분별력을 추구한다

 

의사결정 과정

- 의사결정 유형을 구분한다 - 원칙대로 갈 것인가 vs 상황에 따라 실용적으로 갈 것인가

- 제대로된 타협과 그렇지 않은 것의 차이를 구분한다

- 의사결정을 실행하여 목적달성하는데 가장 많은 시간이 필요함을 안다
    *의사결정 자체가 추상적이라도, 실행 행동은 실무자에게 단순하게 전달되야 한다

 

① 다루는 이슈가 일반적인 사항으로서 원칙에 근거한 의사결정사항임을 명확히 인식함

    *대부분의 사건은 하나의 징후일 뿐, 일반적인 문제로서 규칙(패턴)을 적용해야 함

    **어떤 조직에게 특수하더라도, 실제로는 일반적일 수 있다(M&A 등)

    ***진짜 예외적인 경우도 있다

    ****새로운 일반적인 문제의 출현으로서, 초기에 예외적인 징후를 보임

 

② 의사결정이 만족해야할 필요조건(Specification, 명세서)를 명확히함

- 의사결정이 얻고자 하는 목표는 무엇인가? (+ 최소한의 목표는 무엇인가?)

- 만족시키고자 하는 조건(KPI)는 무엇인가?

  *기본적으로 양립할 수 없는 조건을 만족시킨다는 것은 불가능한 일임

   교집합이 없는 경우의 수를 바라보는 것은 아닌지 성찰해야 함

 

③ 무엇이 "올바른지" 깊이 생각하라 - 필요조건을 만족시킬 해결책을 철저히 검토함

- 무엇이 수락가능할 것인지, 반대에 부딪히지 않기 위해 뭘 말하지 않을지에 대한 걱정은

  아무런 결과를 얻지 못하면 시간낭비일 뿐임

 *현실성을 고려하는 것에만 매몰될 경우에 발생할 수 있는 리스크

  : 가능한 옵션을 두고 옳은 일인지를 검토하지 말고, 옳다고 선정한 바가 가능하도록 만들어야 함

 

④ 의사결정을 행동으로 전환 - 의사결정 결과를 실행하기 위한 행동을 의사결정의 틀 안에 포함시킴

- 경계조건(필요조건) 설정이 가장 어렵다면, 결론을 행동으로 전환하는 건 가장 많은 시간이 걸림

- 의사결정을 행동으로 전환하기 위한 Questionnairre

  *이 결정을 알아야 할 사람은 누구인가?

  **어떤 행동을 누가 해야 하는가?

  *** 그 사람이 그 행동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행동은 무엇인가?

  ▷ 이 결정을 알아야할 사람과 지원사항을 간과하여 의사결정이 행동으로 전환하는데 병목이 자주 발생함

 

⑤ 피드백을 의사결정 과정에 포함시킴 - 의사결정 타당성/유효성을 실제 결과와 비교/검증하여 분석함

- 보고서로만 정보를 입수하지 말고, 직접 눈으로 확인해야 함(적어도 부관을 보내야 함)

  *확인 과정을 밟지 않은 추상적인 정보(보고서 내용)로는 잘못된 판단을 내리기 쉬움

 

 

견해(가설)에서부터 의사결정을 출발하라

- 의사결정은 사실로부터 출발하지 않고, 견해로부터 출발함

  또한, 현실과 비교하여 검증받지 않으면 견해는 가설에 지나지 않아 가치가 없음
  *가설의 타당성을 검증하기 위해 알아야 할 조건은? 타당성이 유지 되기 위해 알아야할 정보는?

- 검증(사실 판단)을 위해 판단 기준 즉, 평가기준을 세우는 것이 핵심임

- 올바른 의사결정은 공통의 이해(목표)와 대립적인 의견, 엇비슷한 대안 사이의 검토로 달성됨

  *하나의 안을 갖고, Yes or No로 대답받는 것은 전혀 판단이 아니며, 몇가지 안 중에 고를 수 있어야 함

   빠른 진행을 위해 채택안의 동의를 구하는 방식이 아니라, 채택안-대안을 비교하며 근거를 제공해야 함★

   **의견의 불일치가 없을 경우, 결정을 하면 안된다 - 올바른 의사결정에 있어 적절한 반대의견은 필수임

      > 의사결정자가 조직의 포로가 되지 않도록 함(강요받지 않고, 객관적인 결정을 할 수 있도록 함)

      >> 의견차이 자체가 의사결정의 대안을 제공하기도 함

      >>> 반대의견으로 부터 받은 도전과 자극으로 더 나은 대안을 도출하는 상상력이 확보됨

             : 의도적으로 반대의견을 유도하고, 왜 반대하는지 그 이유를 찾아내는 의지를 다져야 함

               이 사람의 주장이 타당하고 합리적이라면, 어떤 현실을 보고 있는 건가?

 

마지막으로, 진짜 필요한 의사결정인지 고려하는 것도 필요하다 - 무결정도 결정임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