돈 되고, 의미 되는 "시니어" 과제 발굴/초고령 사회 현상과 문제들

[독서노트] 노동의 미래 ① 노동의 미래를 위한 질문들

저녁숲 2023. 6. 30. 01:06
728x90

 

p16~25

# 노동의 미래를 위해서는

  우선 과거부터 아는 것이 필요하다.

: 노동은 정치, 사회적 상황과 변곡점(이벤트),

  이에 따른 법제도 변화를 고려해야 함

 

한국 노동 1.0(해방~87)

- 미군정, 독재 정권에 의한 국가주도, 경제종속적 노동정책

- 국가 지원 아래 고도성장하나, 노동조합 등 노동활동은 억압

- 사용자가 법 준수하지 않아도 수수방관하던 지러

 

한국 노동 2.0(87~97)

- 민주화와 함께 87노동체제 형성 : 노동관계 정상화

- 노동관계법 제정 후 정치적으로 여야합의 최초 진행

- 노조의 강한전투성으로 기업별 체제에 안주하려하기도 함

 

한국 노동 3.0(97~현재)

- IMF를 통해 노동 민주화가 또다시 위태로워짐

- 신자유주의로 탈규제화, 노동 유연성의 이데올로기 유행

*이때부터 아웃소싱이 경영전략으로 채택되며,

  고용을 털어벌이는 균열일터 현상이 심화되기 시작함

 

현재 한국은 노동시장의 이중구조화(정규/비정규직)와

일종의 사회적 신분으로까지 고착화되는 불평등, 양극화가 심함

 

한국 노동 4.0 (현재~)

4차 산업혁명에 따라 노동의 디지털 전환, 노동의 의미 변환 뿐만 아니라,

고용형태 변화, 인구학적 변화, 기후 변화, 지구적 공급사슬 변화에 따라

노동의 정의가 달라질 예정임

- 전일-종신고용의 정규고용관계 약화

→ 비정규직, 사내하청 등 간접고용化 or 플랫폼 종사자로 대체

- 기대수명 연장 대비, 저출산 심화로 인구고령화 급속히 진행

   + 이로인한 사회안전망 부족으로 인한 혼란 발생

 

p22. 

노동의 미래를 위한 질문 11가지

  1. 모든 사람에게 좋은 일자리가 충분히 있을 것인가?

  2. 디지털화로 나쁜 영향을 받을 수 있는 이는 누구이며,
    반대로 좋은 영향을 받을 사람은 누구인가?

  3. 디지털화는 청년, 고령자, 장애인 등 취약 계층의
    불안정 노동에 어떤 영향을 끼칠까? 이들의 취업기회는 확대될 것인가?
    취약 계층의 일자리가 열악한 상태에 머물지 않고
    양질의 기회가 되려면 어떤 제도적 조치가 필요할까?

  4. 여성들이 일터에서 차별을 겪고
    가정에서는 돌봄을 주로 떠맡는 현실을 고려할 때,
    디지털화는 여성의 일자리에 어떤 영향을 미칠까?
    여성의 노동기회가 확장되고 더욱 평등한 일터를 만들기 위해
    디지털화를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

  5. 플랫폼 노동은 과연 미래지향적인 노동인가?

  6. 디지털 플랫폼 종사자들은 노동자인가? 자영업자인가?
    노동자, 자영업자로 이들의 정체성을 구분하는 것이 꼭 필요한가? 왜?

  7. 디지털 플랫폼 종사자들이 자영업자라면 이들에 대해
    어떤 규제와 보호가 필요할까? 반대로 노동자라면, 어떤 규제와 보호가 필요한가?

  8. 플랫폼 노동은 앞으로도 계속 늘어날 것인가?
    늘어나는 게 우리에게 유익할까?
    만약 늘어난다면 우리 사회는 이러한 노동에 대해 어떤 기준을 갖고 대응해야 할까?

  9. 원하는 시간에 원하는 곳에서 일한다는 것을 무엇을 의미할까? 그 장단점은?

  10. 일에 매몰되지 않고 일과 삶이 균형잡힌,
    일과 삶이 구분되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서는 무엇을 해야 할까?

  11. 일하는 사람이 일하는 시간과 장소를 자유로이 선택할 수 있게 
    하려면 어떻게 해야 할까?

 

출처 : yes24

728x90